21 설정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아파치 웹 서버를 재시작한다.
administrator@server01:~$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22 웹 서버 쪽 준비는 끝났다. 호스트에서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호스트의 /etc/hosts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administrator@losttemple:~$ sudo vi /etc/hosts
23 각 블로그 사이트의 도메인 주소를 웹 서버 IP 주소로 저장한다.
127.0.0.1 localhost 127.0.1.1 losttemple 192.168.122.101 guest 192.168.122.201 www.webserver.com 192.168.122.201 www.jaehunblog.com 192.168.122.201 www.shinblog.com
24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각 도메인 주소로 접속해보면 워드프레스 설치가 시작된다. 웹 서버에서 jaehunblog.com과 shinblog.com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5 워드프레스 때문에 다소 복잡해졌지만 가상 호스트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은 사실 간단하다. 워드프레스 없이 아파치 가상 호스트 기능을 이용한 웹 사이트를 하나 더 생성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먼저 웹 서버 루트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administrator@server01:~$ sudo mkdir -p /var/www/html/example
26 웹 서버 루트 디렉터리의 소유권과 접근 권한을 조정한다.
administrator@server01:~$ sudo chown www-data:www-data /var/www/html/example/ administrator@server01:~$ sudo chmod 755 /var/www/html/example/
27 가상 호스트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administrator@server01:~$ cd /etc/apache2/sites-available/ administrator@server01:/etc/apache2/sites-available$ sudo cp 000-default.conf example.conf administrator@server01:/etc/apache2/sites-available$ sudo vi example.conf
28 설정 파일에 ServerName과 DocumentRoot 정보를 수정한다.
ServerName www.example.com DocumentRoot /var/www/html/example
29 가상 호스트를 활성화시키고 웹 서버를 재시작한다.
administrator@server01:/etc/apache2/sites-available$ sudo a2ensite example administrator@server01:/etc/apache2/sites-available$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30 가상 호스트의 웹 서버 루트 디렉터리에 인덱스 파일을 생성한다.
administrator@server01:~$ sudo vi /var/www/html/example/index.html
31 테스트를 위한 인덱스 파일이므로 간단히 ‘test’를 입력했다.
test
32 웹 서버에 접속할 호스트에서 호스트 파일을 수정한다.
administrator@losttemple:~$ sudo vi /etc/hosts
33 호스트 파일에 가상 호스트의 ServerName으로 설정한 호스트 이름을 입력한다.
127.0.0.1 localhost
127.0.1.1 losttemple
192.168.122.101 guest
192.168.122.201 www.webserver.com
192.168.122.201 www.jaehunblog.com
192.168.122.201 www.shinblog.com
192.168.122.201 www.example.com
34 추가한 호스트 이름으로 접속해보자. 이렇게 아파치 가상 호스트 기능을 이용하면 서버 하나로 여러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