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 파티셔닝
수직 파티셔닝vertical partitioning은 관계형 테이블 하나에 있는 컬럼들을 독립적인 테이블 여러 개로 분리해 넣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그림 7-7).

▲ 그림 7-7 수직 파티셔닝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계형 테이블과 함께 사용된다
이 기법은 특히 일부 컬럼은 자주 사용되고 일부 컬럼은 자주 사용되지 않을 때 매우 유용하다. 이미지와 이 이미지의 속성(이름, 생성 위치, 이미지 생성 일자 등)을 담은 테이블이 있다고 해보자. 이미지 테이블은 이미지 특성에 따라 이미지를 조회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것이다.
누군가가 지난 3개월 동안 프랑스, 파리에서 찍은 사진을 검색하려 한다고 해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인덱스를 사용해 이 테이블에서 검색 조건과 일치하는 로우를 찾을 것이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결과 목록만 보여주고 해당 이미지를 보여주기 전에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고를 수 있도록 대기한다면 관련 속성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를 가져올 이유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