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1.3.2 연속적인 경우

연속확률변수는 확률질량함수 대신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가진다. 얼핏 비슷한 이름 같지만 밀도함수와 질량함수는 매우 다르다. 연속확률변수의 예는 지수밀도를 가진 확률변수다. 지수확률변수에 대한 밀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8m-1

지수확률변수는 푸아송 확률변수처럼 오직 음이 아닌 값만 가진다. 그러나 지수는 푸아송 변수와 달리 4.25나 5.612401 같은 정수가 아닌 값을 포함하여 음이 아닌 어떤 값이든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속성 때문에 값이 정수여야 하는 데이터 개수를 세는 데는 좋은 선택이 아니지만, 시간 데이터, 온도 데이터 혹은 기타 정밀한 양의 변수일 때는 훌륭한 선택이다. 그림 1-4는 λ 값이 다른 두 가지 확률밀도함수를 보여준다.

확률변수 Z가 모수가 λ인 지수분포를 따른다면 Z는 지수적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8m-1

특정 λ가 주어졌을 때 지수확률변수의 기댓값은 λ의 역수다. 즉,

8m-1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