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간단한 예로 다음 코드를 보자.
if x > y: temp = x x= y y = temp

▲ 그림 1.3.1 if 조건문의 구조
이 코드는 필요에 따라 참조하는 객체를 서로 교환해 x
와 y
가 오름차순이 되게 만든다.
다른 최신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중괄호 안에 문장을 넣는 등 문장 블록을 표현하기 위해 이와는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파이썬에서는 각각의 줄에서 들여 쓴 정도가 아주 중요하므로 들여쓰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르게 들여 쓴 다음 코드를 보자.
if x >= 0: if x >= 0: stdio.write('not ') stdio.write('not ') stdio.writeln('negative') stdio.writeln('negative')
왼쪽 코드는 한 문장을 블록으로 가진 if
조건문 뒤에 다른 문장이 온다. 오른쪽 코드는 if
조건문이 두 문장을 블록으로 가진다. x
가 0
보다 크거나 같으면 두 코드는 모두 not negative
를 출력한다. 그러나 x
가 0
보다 작은 경우, 왼쪽 코드는 negative
를 출력하지만 오른쪽 코드는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