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표 1.3.1]에서는 ifif-else 문을 사용하는 다른 예를 두 가지 더 볼 수 있다. 이런 예를 보면 우리가 작성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간단한 계산을 어떻게 구현할지 알 수 있다.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의 핵심이다. 이 문장이 가진 의미(semantics)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의미가 비슷하므로 쉽게 익숙해질 것이다.

[프로그램 1.3.1](flip.py)if-else 문을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코드에서는 동전 던지기를 시뮬레이션한다. 프로그램 본체는 지금까지 우리가 보아온 다른 코드와 마찬가지로 문장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곰곰이 생각해볼 만한 철학적 문제를 던진다. 과연 컴퓨터 프로그램은 난수(random number)를 생성할 수 있는가? 컴퓨터는 난수를 생성할 수 없지만, 난수의 여러 특성을 지닌 숫자는 생성할 수 있다.

순서도(flowchart)라고 하는 그림을 그리면 제어 흐름을 이해하기 쉽다. 순서도 화살표의 흐름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에 해당한다. 프로그래머들이 저수준 언어를 사용하고 제어 흐름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컴퓨터 초창기에 순서도는 프로그래밍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최신 언어를 사용하는 요즘은 그저 if 조건문과 같은 기본 블록을 처음 공부할 때 사용할 뿐이다.

▲ 그림 1.3.2 순서도 예(if 조건문)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