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은 테이블(표)에 새로운 컬럼(Column, 열)이나 로우(Row, 행)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열은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며, 각 열의 항목에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를 행으로 추가하여 나열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구성 |1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열을 추가하면 데이터베이스는 그 열에 입력될 값의 데이터 속성과 크기를 정의합니다. 추가된 열이 검색 조건으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열인 경우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인덱스(색인)를 생성하도록 설정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데이터를 새로 입력하면 DBMS는 자동으로 인덱스(색인)를 생성합니다. 인덱스는 DBMS에 들어 있는 수많은 데이터의 ‘순서 정보’로 데이터마다 붙여 놓은 꼬리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관리하려고 부여한 번호나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기 쉽도록 정리한 목차나 색인을 떠올리면 이해하기가 더 쉽습니다.
1 이 장에서 다루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B, RDB)에 해당합니다. 디렉터리와 같은 HDB(Hierarchical DB)나 최근 빅데이터로 주목을 받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는 구조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나 회원 정보처럼 암호화가 필요한 정보는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의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를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