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실행 예를 한 줄씩 살펴보면서 딕셔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중괄호를 이용해 만듭니다. { } 안에 키에 대응되는 값을 콜론(:)으로 연결해 주면 딕셔너리가 만들어집니다. 다음과 같이 하면 키 "Justin"에 값 13, 키 "John"에 값 10, 키 "Mike"에 값 9가 대응된 딕셔너리가 새로 만들어집니다.

    d = {"Justin": 13, "John": 10, "Mike": 9}

     

    정보가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빈 딕셔너리를 만들려면 값이 들어 있지 않은 빈 중괄호 또는 dict()를 이용하면 됩니다.

    d = {}

    d = dict()

     

    딕셔너리에서 키로 원하는 값을 찾으려면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대괄호 안에 키를 적어 주면 됩니다(단, 리스트에서는 대괄호 안에 원하는 위치 번호를 넣습니다).

    >>> d["Justin"]

    13

    >>> d["John"]

    10

     

    딕셔너리에 없는 키를 대괄호 안에 넣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 d["Summe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KeyError: 'Summer'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