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를 돕기 위해 딕셔너리 활용을 하나 더 살펴보겠습니다.

    딕셔너리를 사용해서 학생 번호와 학생 이름이 대응된 학생 명부를 만들어 볼까요?

    예를 들어 어떤 반에 학생 번호 1번 김민준, 2번 이유진, 3번 박승규 학생이 있을 때, 이 반의 학생 명부는 학생 번호를 키로 하고 학생 이름을 값으로 하는 다음과 같은 딕셔너리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_info = {

        1: "김민준",

        2: "이유진",

        3: "박승규"

    }

     

    응용 1: 학생 번호 2번에 해당하는 학생 이름을 알고 싶다면 s_info[2]를 이용합니다.

    응용 2: 새 학생을 학생 명부에 추가하려면 s_info[4] = "최재원"과 같이 학생 번호를 키, 학생 이름을 값으로 대입합니다.

    응용 3: 학생 번호가 3번인 학생(박승규)을 학생 명부에서 삭제하려면 del s_info[3]과 같이 del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