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계속해서 응답콘텐츠에서 필요한 값을 찾기 쉽게 만들기 위해 블록에 응답콘텐츠의 형태를 바꾸는 코드를 추가합니다.
➊ Json텍스트디코딩하기 함수는 json 형식의 데이터를 특정 값을 찾기 쉬운 리스트 형태로 바꿔줍니다. 응답콘텐츠를 리스트로 바꿔서 다시 응답콘텐츠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응답콘텐츠의 형태를 바꿉니다.
➋ 형태가 바뀐 응답콘텐츠를 급식메뉴 레이블에 출력하면 다음과 같이 보일 것입니다.
[["mealServiceDietInfo", [[["head", [[["list_total_count", 1]], [["RESULT", [["CODE", "INFO-000"], ["MESSAGE",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row", [[["ATPT_OFCDC_SC_CODE", "R10"], ["ATPT_OFCDC_SC_NM", "경상북도교육청"], ["CAL_INFO", "513.0 Kcal"],["DDISH_NM", "흑미수수밥<br/>김실파무침(자율)5.6.18.<br/>당면피망잡채1.5.8.10.13.<br/>누룽지튀김(자율)5.12.13.<br/>깍두기(자율)9.13.<br/>등뼈감자탕5.6.9.10."],…생략…, ["ORPLC_INFO", "쌀 : 국내산<br/>김치류 : 국내산<br/>고춧가루(김치류) : 국내산<br/>돼지고기 : 국내산<br/>오징어 : 국내산<br/>콩 : 국내산"], ["SCHUL_NM", "OO초등학교"], ["SD_SCHUL_CODE", "8941057"]]]]]]]]
대괄호가 여러 겹 겹쳐 있어서 복잡해 보이기는 하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하나의 괄호 쌍 안에 두 개의 항목이 들어 있는 리스트들이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리스트 안에 있는 두 개의 항목은 서로 짝을 이루고 있는데 첫 번째 항목은 데이터의 이름, 두 번째 항목은 데이터 값입니다. 예를 들어, DDISH_NM은 데이터의 이름이고 흑미수수밥<br/>김실파무침(자율)5.6.18.<br/>당면피망잡채1.5.8.10.13.<br/>누룽지튀김(자율)5.12.13. <br/>깍두기(자율)9.13.<br/>등뼈감자탕5.6.9.10.은 데이터 값입니다. 그런데 이 데이터를 잘 살펴보면 우리가 찾고 있는 급식 메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응답콘텐츠에서 필요 없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DDISH_NM 값만 가져오는 작업을 해 보겠습니다.
TIP
급식 메뉴의 요리명 뒤에 온점(.)으로 구분된 1~18 사이의 번호는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재료를 나타내는 번호로, 나이스 교육정보 개방 포털의 급식식단정보에서 각 번호의 식재료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