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덱싱

     

    인덱싱(indexing)은 데이터의 값을 순서대로 불러오는 방법으로, ‘색인’이라고도 한다. 책에 있는 색인으로 해당 키워드가 어느 페이지에 나오는지 알 수 있듯이 인덱스라는 번호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인덱스 번호는 순서대로 붙는다. 파이썬은 0부터 시작한다. 뒤에서 인덱싱할 때는 마이너스 값(-)을 사용한다. 앞에서 지정한 address 변수 안 문자열 원소(element) 값을 가져와 보자.

     

    표 2-1 | address 변수 안 문자열 원소

    원소의 위치

    0

    1

    2

    3

    4

    5

    6

    ...

    -2

    -1

    문자열 원소

     

    ...

     

    이처럼 0부터 시작해 번호 순서대로 인덱싱되며, 번호를 지정하면 해당하는 값을 가져온다. 가장 앞에 있는 값은 0으로, 마지막에 있는 값은 -1로 인덱싱한다. 같은 원리로 두 번째 값은 1, 마지막에서 두 번째 값은 -2로 가져올 수 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