➊ 생성자에 사용자와 목록이 있는 맵을 추가한다.
➋ 이 기능은 초기 다이어그램과 같다.
➌ 요청 경로에서 사용자와 목록 이름을 추출한다.
➍ 맵에서 올바른 사용자 목록을 반환한다.
➎ 목록 데이터가 포함된 간단한 HTML을 만든다.
➏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응답의 본문으로 HTML 페이지를 넣는다.
fetchListContent에서는 목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는 점에 유의하라. 이는 전체성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그다지 함수적이지 않으며(부록 A 가능한 모든 입력을 고려하라 참고), 더 중요한 것은 멋진 오류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대신 보기 흉한 오류 500을 반환한다는 점이다. 오류를 더 잘 처리하는 방법은 4장 오류를 나타내도록 널 반환하기에서 살펴볼 것이다.
응답 파싱하기
이제 Zettai 클래스의 구현이 끝났으므로, 인수 테스트로 돌아가서 테스트 작성을 완료할 수 있다. 또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몇 가지 목록을 연결해야 한다. 테스트를 실행할 때 예제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테스트 픽스처(test fixture)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