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무리

     

     

     

    1. 파일 입출력

    ①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파일 쓰기, 저장한 내용을 불러오는 것을 파일 읽기라고 합니다.

    ② 파일을 읽고 쓸 때는 먼저 fopen()함수로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형식

    FILE * 포인터명 = fopen(파일명, 파일모드);

    ③ 파일 모드는 파일을 여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모드

    기능

    설명

    r

    읽기 전용

    • 읽기 전용 파일 열기

    • 파일이 반드시 있어야 함

    w

    쓰기 전용

    • 새 파일 생성

    • 기존 파일이 있으면 덮어 씀

    a

    추가

    • 파일을 열어 기존 파일 끝에 이어 쓰기

    • 파일이 없으면 새로 생성함

    r+

    읽기/쓰기

    • 읽기/쓰기용으로 파일 열기

    • 파일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없으면 NULL을 반환함

    w+

    읽기/쓰기

    • 읽기/쓰기용으로 파일 열기

    • 파일이 없으면 새로 생성하고, 있으면 덮어 씀

    a+

    추가(읽기/쓰기)

    • 파일을 열어 기존 파일 끝에 이어 쓰기

    • 파일이 없으면 새로 생성함

    • 읽기는 파일의 모든 구간에서, 쓰기는 파일 끝에서만 가능함

    t

    텍스트 모드

    • 파일을 읽고 쓸 때 줄바꿈 문자 \n\r\n을 서로 변환함

    • ^Z(Ctrl + Z)를 파일 끝으로 인식하므로 ^Z까지만 파일을 읽음

    b

    바이너리 모드

    • 파일 내용을 그대로 읽고 씀

    ④ 파일 열기에 실패하면 널(null)이 반환됩니다.

    ⑤ 파일을 읽고 쓰는 작업을 완료하면 fclose()함수로 파일을 닫아야 합니다.

    형식

    fclose(파일포인터);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