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은 채 파일을 닫고 명령 프롬프트에서 vagrant up을 바로 실행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설치하려는 이미지가 'base'로 명시돼 있으나 베이그런트가 해당 이미지를 찾지 못해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c:\HashiCorp>vagrant up
    Bringing machine 'default'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default: Box 'base' could not be found. Attempting to find and install...
    [중략]
    An error occurred while downloading the remote file. The error message, if any, is reproduced below. Please fix this error and try again.
    Couldn't open file /c:/HashiCorp/base

     

    4.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설치할 운영 체제 이미지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용할 가상 머신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필요에 맞게 이미지를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이 복잡하고 험난합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필자가 목적에 맞게 제작해 둔 가상 이미지를 사용하겠습니다.1

    가상 이미지는 베이그런트 클라우드(https://app.vagrantup.com/boxes/search)에 접속해 내려받습니다. 검색창에 sysnet4admin을 입력하면 필자가 올려 둔 파일들이 보입니다. 이 가운데 sysnet4admin/CentOS-k8s를 확인합니다. 참고로 CetnOS-k8s에는 쿠버네티스 실습에 필요한 설정 변경 사항이 포함돼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app.vagrantup.com/sysnet4admin/boxes/CentOS-k8s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그림 2-20 베이그런트 클라우드에서 sysnet4admin/CentOS-k8s 이미지 찾기

     

     


    1 직접 설정하는 방법은 여기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습니다. 만약 직접 설정하기를 원한다면 베이그런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서(https://www.vagrantup.com/docs/boxes/base.html)를 참조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