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실행

    4대의 가상 머신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앞에서 작성한 파일들을 Vagrantfile과 같은 위치에 저장합니다.

    1. vagrant up을 실행해 총 4대의 CentOS를 설치하고 구성합니다.

    c:\HashiCorp>vagrant up
    Bringing machine 'm-k8s'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1-k8s'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2-k8s'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3-k8s'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m-k8s: Importing base box 'sysnet4admin/CentOS-k8s'...
    ==> m-k8s: Matching MAC address for NAT networking...
    [생략]

    2. vagrant ssh 명령으로 설치된 CentOS에 접속합니다. 설치된 가상 머신이 여러 대라서 접속할 가상 머신의 이름을 입력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c:\HashiCorp>vagrant ssh
    This command requires a specific VM name to target in a multi-VM environment.

    3. vagrant ssh m-k8s를 입력합니다. m-ks는 가장 먼저 설치된 가상 머신의 이름입니다.

    c:\HashiCorp>vagrant ssh m-k8s
    [vagrant@m-k8s ~]$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