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vagrant up 실행이 끝나면 슈퍼푸티를 엽니다. 2장에서 설정한 세션 창에서 m-k8s를 더블클릭해 터미널에 접속합니다.

    ▲ 그림 3-11 슈퍼푸티로 m-k8s에 접속하기

    6. kubectl get nodes 명령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되고 연결됐는지 확인합니다.

    [root@m-k8s ~]#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m-k8s    Ready    master   29m   v1.18.4
    w1-k8s   Ready    <none>   24m   v1.18.4
    w2-k8s   Ready    <none>   19m   v1.18.4
    w3-k8s   Ready    <none>   15m   v1.18.4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이 끝났습니다. 이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요소를 살펴보면서 쿠버네티스의 개념과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