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는 API 버전마다 포함되는 오브젝트(kind)도 다르고 요구하는 내용도 다릅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모든 내용을 숙지하기보다는 기존에 만들어진 파일을 수정하면서 이해해 보고 필요한 내용을 그때마다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1. echo-hname.yaml 파일을 이용해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해 봅시다. 현재 디플로이먼트는 파드 3개를 생성하도록 replicas에 정의돼 있습니다. 이 부분은 ‘3.2.3 레플리카셋으로 파드 수 관리하기’에 설명돼 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root@m-k8s ~]# kubectl create -f ~/_Book_k8sInfra/ch3/3.2.4/echo-hname.yaml
deployment.apps/echo-hname created
2. 새로 생성된 echo-hname 파드가 3개인지 확인합니다.
[root@m-k8s ~]#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echo-hname-5d754d565-7bzfs 1/1 Running 0 2m6s
echo-hname-5d754d565-g7tl5 1/1 Running 0 2m6s
echo-hname-5d754d565-lksqr 1/1 Running 0 2m6s
nginx-pod 1/1 Running 0 19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