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w3-k8s에 uncordon이 적용됐는지 kubectl get nodes 명령으로 확인합니다.

    [root@m-k8s ~]#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m-k8s Ready master 134m v1.18.4
    w1-k8s Ready <none> 129m v1.18.4
    w2-k8s Ready <none> 125m v1.18.4
    w3-k8s Ready <none> 120m v1.18.4

    cordon 기능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노드를 스케줄되지 않게 설정해 봤습니다. 그렇다면 노드의 커널을 업데이트하거나 노드의 메모리를 증설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해서 노드를 꺼야 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