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record 옵션으로 기록된 히스토리는 rollout history 명령을 실행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m-k8s ~]#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ment rollout-nginx
    deployment.apps/rollout-nginx
    REVISION  CHANGE-CAUSE
    1         kubectl apply --filename=/root/_Book_k8sInfra/ch3/3.2.10/rollout-nginx.yaml --record=true

    3. 배포한 파드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root@m-k8s ~]# kubectl get pods \
    -o=custom-columns=NAME:.metadata.name,IP:.status.podIP,STATUS:.status.phase,NODE:.spec.nodeName
    NAME                             IP               STATUS    NODE
    rollout-nginx-5b7c85b5c9-g8x8x   172.16.103.143   Running   w2-k8s
    rollout-nginx-5b7c85b5c9-xl5db   172.16.221.141   Running   w1-k8s
    rollout-nginx-5b7c85b5c9-zwpgk   172.16.132.9     Running   w3-k8s 

    4. 배포된 파드에 속해 있는 nginx 컨테이너 버전을 curl -I(헤더 정보만 보여주는 옵션) 명령으로 확인합니다.

    [root@m-k8s ~]# curl -I --silent 172.16.103.143 | grep Server 
    Server: nginx/1.15.12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