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메트릭 서버도 오브젝트 스펙 파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림처럼 오브젝트 스펙 파일이 여러 개라서 git clone 이후에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다시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또한 실습에서 사용하려면 몇 가지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쿠버네티스 메트릭 서버의 원본 소스(https://github.com/kubernetes-sigs/metrics-server)를 sysnet4admin 계정으로 옮겨 메트릭 서버를 생성하겠습니다.
[root@m-k8s ~]# kubectl create -f ~/_Book_k8sInfra/ch3/3.3.5/metrics-server.yaml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system:aggregated-metrics-reader creat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metrics-server:system:auth-delegator created
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metrics-server-auth-reader created
apiservice.apiregistration.k8s.io/v1beta1.metrics.k8s.io created
serviceaccount/metrics-server created
deployment.apps/metrics-server created
service/metrics-server created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system:metrics-server creat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system:metrics-server created

▲ 그림 3-55 쿠버네티스 메트릭 서버의 깃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