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에 문자 저장하기

    프로그래밍에서는 수학에서와 달리 변수에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도 넣을 수 있습니다.

    b = '학생'
    print(b)
    실행결과
    학생

    b라는 변수에 문자 ‘학생’을 저장했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문자는 반드시 양옆에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가 있어야 문자로 인식합니다. 코드를 실행해 보니 예상한 대로 ‘학생’이 출력됩니다. 이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 봅시다.

    b = '학생'
    c = '고등'
    print(b + c)
    실행결과
    학생고등

    변수 c에 문자 ‘고등’을 저장하고 bc를 합쳐 출력하니 ‘학생고등’이 출력됩니다. 2장에서 ‘문자 + 문자’는 공백 없이 문자가 합쳐져서 출력된다고 배웠습니다. bc에 들어 있는 값이 모두 문자이므로 문제없이 출력됩니다. 그런데 단어가 이상합니다. 고등학생이 맞는 단어죠?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