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2016과 175.5도 같은 숫자지만, 생김새가 조금 다릅니다. 2016은 소수점이 없고, 175.5에는 소수점이 있죠. 이렇게 숫자에 소수점이 없으면 정수, 소수점이 있으면 실수라고 합니다. 따라서 2016은 정수 데이터, 175.5는 실수 데이터입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런 정수, 실수, 문자를 데이터 타입(data type)이라고 합니다.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data)와 타입(type) 두 단어를 합친 말로, 데이터는 자료를 의미하고, 타입은 유형이나 형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 타입은 자료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데이터 타입을 자료형이라고도 합니다.
앞에 나온 내용을 조금 바꿔서 말하면 2016은 정수이므로 데이터 타입이 정수형입니다. 그래서 2016이라는 정수 데이터를 담고 있는 year 변수는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정수형이 됩니다. 코드로 확인해 볼까요?
year = 2016
print(type(year))
실행결과
<class 'int'>
type()은 데이터 타입을 알려 주는 명령어로, 소괄호 안에 데이터 타입을 알고 싶은 값을 넣습니다. type(year)의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print()도 추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