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결과의 class는 일단 ‘그룹’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나중에 설명하니 여기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year의 데이터 타입이 int라고 나왔네요. int는 정수를 뜻하는 integer의 약자로, 정수형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175.5는 실수 데이터이므로 175.5를 담고 있는 변수 height 역시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실수형이 됩니다.
height = 175.5
print(type(height))
실행결과
<class 'float'>
이번에는 float가 나오네요. 부동소수점을 의미하는 floating point를 줄여 float라고 합니다. floating point는 직역하면 ‘떠다니는 점’인데, 실수에 등장하는 소수점이 숫자들 사이에서 떠다니는 듯 보여서 이렇게 부른다고 합니다.
‘제임스’로 넘어가 봅시다. ‘제임스’는 문자입니다. 그러니 ‘제임스’가 들어 있는 name 변수의 데이터 타입도 당연히 문자형이 됩니다.
name = '제임스'
print(type(name))
실행결과
<class 's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