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32가 들어 있는 x 변수를 str()로 감싸면 데이터가 문자 '32'로 바뀌어 다시 x에 저장됩니다. y 변수 역시 문자 '32.9'로 변경되어 저장됩니다. 두 변수가 모두 문자로 변환됐기 때문에 print(x + y)를 실행했을 때 숫자 + 숫자가 아닌 문자 + 문자 연산을 합니다. 그래서 64.9가 아닌 3232.9가 출력됩니다.

    이번에는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경해 볼까요?

    a = '30'
    print(type(a))
    
    a = int(a)
    print(type(a), a * 3)
    실행결과
    <class 'str'>
    <class 'int'> 90

    문자열인 a 변수를 int()로 감싸서 숫자형으로 만듭니다. 마지막 줄에서 a * 3을 하니 숫자 연산이 되어 출력됩니다. 만약 a가 숫자형으로 바뀌지 않았다면 90이 아니라 303030이 출력됐겠죠?

    ▲ 그림 3-8 문자열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바꾸기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