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에 따라 출력하는 n 값이 달라져야 합니다. 그러면 n은 어떻게 구할까요? 성인이 되는 나이인 20살에서 현재 나이를 빼면 몇 년 후에 성인이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 - age를 하면 됩니다. 추가된 출력 명령어는 조건이 충족돼야만 실행되므로 if 문 아래에 첫 번째 print() 명령어 다음 줄에 4칸 들여쓰기를 해서 작성하면 됩니다.

    실행결과
    18을 입력했을 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18 
    미성년자는 주류를 구매할 수 없습니다. 
    2 년 후에 성인이 되면 오세요!
     
    22를 입력했을 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22

    들여쓰기를 하지 않고 작성하면 어떻게 될까요? 20 미만인 수와 20 이상인 수를 넣어 보며 한번 테스트해 보세요.

    age = int(input('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
    if age < 20:
        print('미성년자는 주류를 구매할 수 없습니다.')
    print(20 - age, '년 후에 성인이 되면 오세요!')
    실행결과
    18을 입력했을 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18 
    미성년자는 주류를 구매할 수 없습니다. 
    2 년 후에 성인이 되면 오세요!
    
    22를 입력했을 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2 년 후에 성인이 되면 오세요!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