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에 맞춰 원하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넣으면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아직 알쏭달쏭할 테니 바로 코드를 작성해 결과를 확인해 봅시다.

    for a in [1, 2, 3, 4, 5]:
        print('안녕하세요.')

    5개의 숫자가 대괄호([])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data에는 데이터 묶음이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이 코드에서는 1부터 5까지의 수를 대괄호로 묶어 [1, 2, 3, 4, 5]라는 데이터 묶음으로 만든 것이죠. 이 부분은 다음 장에서 상세히 배울 내용이라 여기서는 간단하게 ‘대괄호로 데이터 묶음을 표현한다’는 정도만 알면 됩니다. 이렇게 데이터 묶음이어야 data 위치에 넣을 수 있습니다. 그럼 한번 실행해 봅시다.

    실행결과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는 1개인데 실행결과에는 ‘안녕하세요.’가 다섯 번 출력됩니다. 왜 그럴까요?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