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구조를 더 살펴봅시다. 리스트의 인덱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앞의 표에서 break, bring과 같은 영단어입니다. 그런데 이 문자들은 숫자처럼 순서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인덱스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딕셔너리에서는 break, bring, brush, brave와 같은 문자를 (key)라고 합니다. 키는 인덱스처럼 데이터의 위치를 알려 주고, 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그리고 각 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value)이라고 합니다.

▼ 표 7-2 딕셔너리의 키와 값

키(key)

break

bring

bursh

brave

값(value)

깨어지다

가져오다

용감한

여기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딕셔너리에서는 키와 값이 한 쌍입니다. ‘break-깨어지다’, ‘bring-가져오다’, ‘brush-붓’, ‘brave-용감한’이라는 네 쌍의 키-값이 있는 것이죠. 딕셔너리는 이처럼 요소를 키와 값 한 쌍으로 표현합니다.

그럼 딕셔너리는 어떻게 만들까요? 딕셔너리는 리스트와 형식이 비슷합니다. 딕셔너리명으로 변수를 만들고 딕셔너리를 저장하면 됩니다. 다만, 리스트가 데이터를 대괄호([])로 표현했다면 딕셔너리는 중괄호({})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키-값이 한 쌍이므로 데이터도 한 쌍으로 넣어야 합니다. 한 쌍을 표현하는 방법은 키: 값입니다.

형식

딕셔너리명 = {키: 값, 키: 값…}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