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필자의 환경에서 출력된 결과를 그림 2-3에 실었다. 필자는 윈도우용 도커 데스크톱에서 실행한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동 중이다. 두 번째 명령에서 출력된 NODE_IP는 필자의 리눅스 가상 머신의 IP 주소고, POD_IP는 클러스터 속 파드의 가상 IP 주소다. 세 번째 명령에서 출력된 컨테이너 식별자 앞에는 해당 컨테이너를 실행 중인 컨테이너 런타임의 이름이 붙는다. 도커로 실행된 컨테이너이므로 docker가 붙었다.

실습이 조금 지루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여기에서 기억해야 할 점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kubectl이 매우 강력한 도구라는 점이다. 쿠버네티스와의 주요 접점 역할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kubectl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kubectl의 기능을 확실히 파악해 두면 도움이 된다. 명령어에 관심 있는 출력 내용에 대한 질의를 지정하는 것도 유용하다. 리소스 정보 중 원하는 정보에 마음대로 접근할 수 있고, 특히 자동화시킬 때 편리하다. 두 번째는 컨테이너를 직접 실행하는 것은 쿠버네티스가 아니라는 점이다. 파드에서 볼 수 있는 컨테이너 식별자는 컨테이너가 실제 실행되는 다른 시스템을 가리키는 참조일 뿐이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