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 5-5 persistentVolume-nfs.yaml, NFS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볼륨의 정의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01                      # 볼륨 이름
    spec:
      capacity:
        storage: 50Mi                 # 볼륨 용량
      accessModes:                    # 파드의 접근 유형
        - ReadWriteOnce               # 파드 하나에서만 사용 가능
      nfs:                            # NFS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볼륨
        server: nfs.my.network        # NFS 서버의 도메인 네임
        path: "/kubernetes-volumes"   # 스토리지 경로

    로컬 네트워크에 NFS 서버를 구축하고 그 도메인 네임을 ‘nfs.my.network’라고 지은 후 ‘kubernetes-volumes’라는 이름의 스토리지를 만들지 않았다면 실습 환경에서는 이 정의를 배치할 수 없다. 쿠버네티스는 어떤 플랫폼이든 동작할 수 있으므로 실습 예제에서도 어디에서든 쓸 수 있는 로컬 볼륨을 사용할 것이다. (실습 예제에서 애저 파일스로 만든 볼륨을 사용할 때는 AKS 클러스터가 아니면 실습을 진행할 수 없다. EKS나 도커 데스크톱 같은 그 외 쿠버네티스 배포판은 애저 볼륨 유형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