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 이동평균이란?
이동평균(moving average)이란 여러 데이터 중에서 특정 집단을 추출하여 평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계산 방법이 어렵지는 않지만 개념이 생소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10일 치 주가 데이터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종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날짜별 3일 이동평균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주가가 1300인 마지막 날부터 계산하자면 당일 주가 1300을 포함해서 총 3일 치 데이터의 평균을 구합니다.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여기서 10일 차의 이동평균은 당일 주가 1300을 포함해서 데이터의 평균을 총 세 개 구합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은 (1100 + 1250 + 1300) / 3의 계산 결과인 1216원이 됩니다(소수점은 버림하겠습니다).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동평균 |
|
|
|
|
|
|
|
|
|
1216 |
그럼 8일 차 이동평균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동평균 |
|
|
|
|
|
|
|
|
|
1216 |
당일인 8일 차를 포함한 지난 2일의 데이터를 합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은 (1180 + 1150 + 1100) / 3의 계산 결과인 1143원이 됩니다.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동평균 |
|
|
|
|
|
|
|
1143 |
|
1216 |
주가에 사용하는 이동평균은 이렇게 당일, 과거 데이터를 합해서 평균을 계산하지만 1·2일 차처럼 데이터 개수가 세 개보다 부족할 때는 어떻게 할까요?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동평균 |
|
|
|
|
|
|
|
1143 |
|
1216 |
이렇게 이동평균 계산에 데이터 개수가 부족할 때는 빈 값으로 두거나 부족한 데이터만 사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자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주가 |
1100 |
1000 |
1150 |
1200 |
1250 |
1180 |
1150 |
1100 |
1250 |
1300 |
이동평균 |
1100 / 1 = 1100 |
(1100 + 1000) / 2 = 1050 |
|
|
|
|
|
1143 |
|
1216 |
이렇게 이동평균이란 전체 데이터 중에서 집단을 추출하여 평균을 계산한 것입니다. 이 책에서 사용하는 20일, 60일 이동평균은 전체 주가 데이터 중(여기서 말하는 주가는 종가) 최근 20일 치, 60일 치를 대상으로 구한 평균값입니다. 그리고 이동평균선은 이 이동평균을 구해서 연결한 선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