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15장 오라클 잡과 스케줄러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주기적인 작업을 처리해야 할 때가 있다. 하루에 한 번씩 다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사용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일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렇게 일정한 주기로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것을 통칭해서 잡(Job)이라고 한다. 매일 아침마다 기상시간을 알리는 알람 기능도 일종의 잡으로 볼 수 있다. 잡은 일정한 주기와 수행될 작업,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일정한 주기란 언제 시작하고 얼마나 자주 수행될 것인지를 정하는 시간상의 개념으로 이를 스케줄이라고 한다. 수행될 작업은 실제로 뭔가를 처리하는 작업, 즉 DML문이나, DML문을 포함한 익명 블록, 프로시저 등이 해당되며 이를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오라클 상에서 잡을 만들어 사용하려면 스케줄과 프로그램을 만들어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DBMS로 시작하는 시스템 패키지들을 소개했는데 잡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기능도 시스템 패키지로 구현되어 있다. 바로 그 주인공은 DBMS\_JOB과 DBMS\_SCHEDULER이다. 이 장에서는 이 두 패키지의 사용법과 활용법을 학습해 볼 것이다.

01 DBMS_JOB

02 DBMS_SCHEDULER 패키지

03 DBMS_SCHEDULER를 이용한 스케줄링 처리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