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10.2.3 개선된 2차원 영상의 푸리에 변환

앞에서 살펴본 DFT 함수는 정확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즉, 푸리에 변환 공식을 완벽하게 C/C++ 코드로 구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코드를 사용하는 데에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소스 10-4의 코드는 4중 for 루프를 사용하고 있고, 다수의 곱셈 연산을 호출하기 때문에 연산 속도가 매우 느리다. 만약 256×256 크기의 영상에 대하여 위 DFT 함수를 호출한다면, 아마 잠시 밖에 나가서 커피를 한 잔 마시고 와도 결과를 보기 힘들지 모른다.

가로 픽셀의 크기가 M이고, 세로 픽셀의 크기가 N인 영상을 일반적인 이산 푸리에 변환 공식을 사용하여 주파수 공간으로 변환할 때에는 N2M2개의 곱셈 연산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이산 푸리에 변환 연산의 계산 복잡도는 O(kN4)로 표현된다. 이는 크기가 64×64인 영상을 DFT 함수를 사용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할 때 시간이 2초 걸렸다면, 256×256 크기의 영상을 이산 푸리에 변환할 때는 512초, 즉 8분이 넘게 걸린다는 소리이다. 영상의 한 변의 길이가 4배 증가하면, 전체 연산에 걸리는 시간은 44=256배 증가하는 것이다.

다행히도 이산 푸리에 변환식은 행row과 열column 단위로 그 식을 분리하여 쓸 수 있다. 다음 수식을 살펴보자.

위 수식에서 함수 F´(x, v)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함수 F´(x, v)는 2차원 입력 영상에서 x번째에 해당하는 열을 1차원 데이터로 간주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결국 2차원 영상의 푸리에 변환은 영상을 행과 열로 분리하여 각각을 푸리에 변환하여 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경우 행 단위로 먼저 1차원 푸리에 변환을 한 후 나중에 열 단위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도 결과는 동일하다.

이러한 영상의 푸리에 변환 과정을 그림 10-5에 나타내었다. 그림 10-5에서 왼쪽 입력 영상 f(x, y)를 각 행 단위로 분리하여 표시하였으며, 각 행을 푸리에 변환한 결과가 중앙의 F´(u, y)가 된다. 함수 F´(u, y)는 다시 열 단위로 분리되어 다시 1차원 푸리에 변환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주파수 공간의 함수 F(u, v)로 변환된다.

그림 2-10 2차원 영상의 푸리에 변환을 행과 열 단위로 분리하여 수행

이처럼 2차원 영상을 이산 푸리에 변환을 할 때, 행과 열을 분리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면 연산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크기가 M×N인 영상을 행 단위 이산 푸리에 변환을 할 때, N번의 1차원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므로 M2N번의 곱셈 연산이 필요하다. 그리고 열 단위 이산 푸리에 변환을 할 때는 MN2번의 곱셈 연산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행과 열을 분리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을 할 때에는 전체 MN(M+N)번의 곱셈 연산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계산 복잡도로 표현하면 O(kN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앞서 살펴본 일반적 정의식에 의한 방법이 O(kN4)이었던 것에 비하면 연산 시간이 크게 감소함을 의미한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