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labels라는 이름의 변수를 생성합니다. 이는 각 데이터 포인트에 할당된 클러스터의 식별자입니다. 전체 데이터 포인트의 개수는 20이므로 이 배열의 크기도 20입니다. centers라는 이름의 변수를 생성합니다. 이는 생성된 클러스터의 중심점 위치를 담은 배열입니다. 이 경우에서는 클러스터 개수 k가 2이므로 배열의 크기도 2입니다.

    [in :]

    labels = myKmeans.labels_
    centers = myKmeans.cluster_centers_

    5. 이제 두 배열 labelscenters를 출력합니다.

    [in :]

    print(labels)

    [out:]

    [1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0 0 1]

    [in :]

    print(centers)

    [out:]

    [[57.09090909 15.09090909]
     [16.77777778 48.88888889]]

    첫 번째 배열은 각 데이터 포인트에 할당된 클러스터 식별자이며 두 번째 배열은 두 클러스터의 중심점입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