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다중 선택

    마지막으로 소개할 제어문은 switch문으로서 선택문(selection statement)C의 한 종류다. switchif-else문이 너무 길어서 코드가 복잡해질 때 주로 사용한다.

    if (arg == 'm') {
      puts("this is a magpie");
    } else if (arg == 'r') {
      puts("this is a raven");
    } else if (arg == 'j') {
      puts("this is a jay");
    } else if (arg == 'c') {
      puts("this is a chough");
    } else {
      puts("this is an unknown corvid");
    }

    이 코드는 단순히 참·거짓 여부를 결정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각 조건에 따른 결과도 다양하다. switch문을 사용하면 이 코드를 다음과 같이 좀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switch (arg) {
      case 'm': puts("this is a magpie");  // 까치
                break;
      case 'r': puts("this is a raven");   // 까마귀
                break;
      case 'j': puts("this is a jay");     // 어치
                break;
      case 'c': puts("this is a chough");  // (붉은 다리)까마귀
                break;
      default: puts("this is an unknown corvid"); // 알 수 없는 까마귀과
    }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