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상수 무시하기

    하지만 재미있게도 빅 오 표기법에서는 선택 정렬과 버블 정렬을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설명한다.

    다시 강조하자면 빅 오 표기법은 데이터 원소가 N개일 때 얼마나 많은 단계 수가 필요한가라는 핵심 질문에 답한다. 선택 정렬에 대략 N2의 반 단계 정도가 걸리므로 선택 정렬의 효율성을 O(N2 / 2)로 설명하면 적당할 듯하다. 즉, 데이터 원소가 N개일 때 N2 / 2단계가 필요하다. 다음 표가 이를 뒷받침한다.

    ▼ 표 5-3

    원소 개수(N)

    N2 / 2

    선택 정렬에서 최대 단계 수

    5

    52 / 2 =12.5

    14

    10

    102 / 2 =50

    54

    20

    202 / 2 200

    199

    40

    402 / 2 = 800

    819

    80

    802 / 2 = 3239

    3239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