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

    R과 다른 언어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가 바로 NANot Available 상수다. NA는 데이터 값이 없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4명의 시험 점수가 있을 때 3명의 점수는 각각 80, 90, 75지만 4번째 사람의 점수를 모를 경우 NA를 이용해 4번째 사람의 점수를 표현한다.

    > one <- 80
    > two <- 90
    > three <- 75
    > four <- NA
    

    변수에 NA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는 is.na( ) 함수로 확인한다.

    표 2-1 NA 값의 확인

    is.na : NA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is.na(
       x # R의 데이터 객체 
    )

    NA가 저장되어 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변수 four에 NA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코드다.

    > is.na(four)
    [1] TRUE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