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데이터 접근

    리스트에 저장된 데이터는 색인 또는 키를 사용해 접근할 수 있다.

    표 2-13 리스트 데이터 접근 문법

    문법

    의미

    x$key

    리스트 x에서 키 값 key에 해당하는 값

    x[n]

    리스트 x에서 n번째 데이터의 서브리스트

    x

    리스트 x에서 n번째 저장된 값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리스트를 출력해보면 ‘$키’ 형태로 각 키가 나열된다. 데이터는 ‘x$key’ 형태로 접근한다. 또는 각 요소를 순서대로 x 형태로 접근할 수도 있다.

    > x <- list(name="foo", height=c(1, 3, 5))
    > x$name
    [1] "foo"
    > x$height
    [1] 1 3 5
    > x1
    [1] "foo"
    > x2
    [1] 1 3 5
    

    x과 달리 x[n] 형태는 각 값이 아니라 ‘(키, 값)’을 담고 있는 서브리스트를 반환한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를 보자.

    > x[1]
    $ name
    [1] "foo"
    > x[2]
    $ height
    [1] 1 3 5
    

    코드에서 볼 수 있듯이 x[1]은 (name, “foo”)를 담고 있는 리스트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