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

    sort( )는 주어진 벡터를 정렬한 결과를 반환한다.

    표 4-25 sort( ) 함수

    sort : 벡터를 정렬한다.

    sort(
      x,                 # 정렬할 벡터
      decreasing=FALSE,  # 내림차순 여부
      # na.last NA 값을 정렬한 결과의 어디에 둘 것인지를 제어한다. na.last=TRUE NA 값을
      # 정렬한 결과의 마지막에 두고, na.last=FALSE는 정렬한 값의 처음에 둔다.
      # 기본값인 na.last=NA NA 값을 정렬 결과에서 제외한다.
      na.last=NA
    )

    반환 값은 정렬된 벡터다.

    다음은 임의의 값이 저장된 벡터를 각각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예다.

    > x <- c(20, 11, 33, 50, 47)
    > sort(x)
    [1] 11 20 33 47 50
    > sort(x, decreasing=TRUE)
    [1] 50 47 33 20 11
    > x
    [1] 20 11 33 50 47
    

    위 코드에서 알 수 있듯이, sort( )는 값을 정렬한 결과를 반환할 뿐이지 인자로 받은 벡터 자체를 변경하지는 않는다. 이는 ‘3.6 값에 의한 전달’ 절에 설명했듯이 R 함수는 대부분 인자를 값으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