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 데이터 프레임 컬럼 접근

    데이터 프레임에 저장된 컬럼을 매번 df$colname과 같은 형식으로 접근하면 매번 데이터 프레임 이름 df와 $를 반복하게 되어 코드가 불필요하게 복잡해진다. 이는 리스트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 절에서는 데이터 프레임 또는 리스트의 필드들을 df$colname이 아니라 colname만 적어도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with( ), within( ) 그리고 attach( ), detach( )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 표에 이들 함수의 특징을 정리했다.

    표 4-26 데이터 프레임 접근 함수

    함수

    특징

    with( )

    코드 블록 안에서 필드 이름만으로 데이터를 곧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within( )

    with( )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데이터에 저장된 값을 손쉽게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attach( )

    attach( ) 이후 코드에서는 필드 이름만으로 데이터를 곧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detach( )

    attach( )의 반대 역할로 detach( ) 이후 코드에서 더 이상 필드 이름으로 데이터를 곧바로 접근할 수 없게 한다.

    <Note> with( )와 attach( )의 차이

    with( ), within( )은 명시된 데이터를 환경(environment)으로 하여 표현식을 평가한다. 반면 attach( ), detach( )는 이름을 찾는 검색 경로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