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1] 《통계학 이론과 응용》, 배도선 외 7명, 청문각, 2003.

    [2] quantile( ) 함수 매뉴얼

    http://stat.ethz.ch/R-manual/R-patched/library/stats/html/quantile.html

    [3] 과적합에 대한 위키피디아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Overfitting

    [4] 《표본조사론》, 이기재, 이계오, 박진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

    [5] 〈Sampling methods related to Bernoulli and Poisson sampling〉, Dhiren Ghosh, Andrew Vogt, Joint Statistical Meetings, 2002.

    http://www.amstat.org/sections/srms/Proceedings/y2002/Files/JSM2002-001080.pdf

    [6] 카이 제곱 분포에 대한 위키피디아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Chi-squared_distribution

    [7] 티스토리에 게제된 “Fisher의 정확한 검정”

    http://dermabae.tistory.com/175

    [8] 위키피디아의 Fisher’s exact test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Fisher’s_exact_test

    [9] 통계학 원론 강의 노트,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 통계학과, 2001.

    http://wolfpack.hnu.ac.kr/lecture/fall01/stat4bus/stat4bus9-1.pdf

    [10] 생명과학 자료분석. 박미라 이태림, 이재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11] 탐색적 자료분석. 문승호 이태림, 허명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12] 위키피디아의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암시하지 않음에 대한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Correlation_does_not_imply_causation

    [13] 위키피디아의 피어슨 상관 계수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Pearson_productmoment_correlation_coefficient

    [14] 위키피디아의 공분산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Covariance

    [15] 위키피디아의 스피어만 순위 상관 계수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Spearman’s_rank_correlation_coefficient

    [16] 배도선, 이낙영, 권혁무, 장중순, 차명수, 문원영, 김명수, 이민구 공저. 통계학 이론과 응용, 청문각. 2003.

    [17] 위키피디아의 켄달 순위 상관 계수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Kendall_tau_rank_correlation_coefficient

    [18] 위키피디아의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Statistical_significance

    [19] 통계학 이론과 응용. 배도선 외. 청문각, 2003.

    [20] 통계학개론. 김성수 이기재 이긍희 이태림, 이정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21] 수리통계학. 박병욱 김우철, 손중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22] 위키피디아의 베르누이 시행 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Bernoulli_trial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