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두 줄은 같은 코드입니다. 작은따옴표(' ') 사이에 저장할 문자(여기서는 #)를 표기합니다. 그러면 해당하는 아스키 코드 값(여기서는 35)이 변수에 저장됩니다.

    숫자 자료형인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는 각각 서식 지정자로 %d%f를 사용했던 것을 기억하나요? 마찬가지로 문자형 변수는 character(문자)의 약자인 c에 해당하는 서식 지정자 %c를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ascii.c

    #include <stdio.h>
     
    main() {
        char a = 35;   // 아스키 코드 값 35
        char b = '#';  // 문자 #을 저장 
     
        printf("a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는 %c입니다.\n", a);
        printf("b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는 %c입니다.\n", b);
    }

    실행 결과

    a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는 #입니다.

    b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는 #입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