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메모리 공간만큼 할당 받을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죠? 그럼 지금부터 예제 코드를 중심으로 malloc() 함수의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dynamic_3.c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 stdlib.h 헤더 파일 포함
      
    main()
    {
        char *a;
        a = malloc(4);   // 4바이트 메모리 할당 받아 해당 주소를 포인터 변수 a에 저장
        *a = 100;        // 할당 받은 메모리에 100을 저장
     
        printf("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의 주소는 %d\n", a);
        printf("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은 %d\n", *a);
        free(a);
    }

    실행 결과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의 주소는 12689368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은 100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