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jwt": "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pZCI6MSwiaWF0IjoxNjE1NjYyNTExLCJleHAiOjE2MTgyNTQ1MTF9.ipKIJbvsfzpHo97wNf4MnsXRyWx_Qp4WMyvBLVf50nA",
      "user": {
          "id": 1,
          "username": "johndoe",
          "email": "johndoe@email.com",
          "provider": "local",
          "confirmed": true,
          "blocked": null,
          "role": {
              "id": 1,
              "name": "Authenticated",
              "description": "Default role given to authenticated user.",
              "type": "authenticated"
          },
          "created_at": "2021-03-13T19:08:31.395Z",
          "updated_at": "2021-03-13T19:08:31.400Z"
      }
    }

    여기서 jwt 필드에 설정된 문자열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적용할 때 사용하는 JWT 토큰입니다. JWT는 JSON Web Token을 의미하며, JSON 값을 base64로 인코딩하고 해당 데이터에 서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해당 토큰이 서버에서 생성된 유효한 값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에 로그인 정보를 담아서 새로운 요청을 할 때는 이 값을 요청의 Authorization 헤더에 담아서 요청하여 서버 측에서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 사용자인지 비로그인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