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셔너리

    딕셔너리(dictionary)는 값마다 이름이 있는 값의 모음(A ‘bag’ of values, each with its own label)이다. 꽤 유용한 자료 구조인데 키(key)-값(value) 구조를 가진다. 딕셔너리 안의 모든 값은 키라는 이름을 갖는다. { }를 이용하여 생성하며, 값은 키:값 쌍으로 표현하며 ,(콤마)로 나열한다.

    >>> bag = dict()        # 딕셔너리 생성
    >>> bag['money'] = 12   # money라는 키 값에 12를 할당
    >>> bag['cake'] = 3     # cake라는 키 값에 3을 할당
    >>> bag['paper'] = 75   # paper라는 키 값에 75를 할당
    
    >>> print(bag)
    {'money': 12, 'cake': 3, 'paper': 75}
    >>> print(bag['cake'])
    3
    >>> bag['cake'] = bag['cake'] + 2
    >>> print(bag)
    {'money': 12, 'cake': 5, 'paper': 75}

    리스트에서는 인덱스에 따라 접근할 수 있었지만, 딕셔너리에는 인덱스가 없다. 대신 특정 이름의 키 값을 통해서 값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딕셔너리에서는 수정하려는 값의 키를 통해 값을 수정할 수 있다.

    # 리스트
    >>> lst = list()    # 리스트 생성
    >>> lst.append(11)  # 11을 추가
    >>> lst.append(133) # 133도 추가
    >>> print(lst)
    [11, 133]
    >>> lst[0] = 13 # 첫 번째 값 11을 13으로 수정
    >>> print(lst)
    [13, 133]
    
    # 딕셔너리
    >>> dic1 = dict()       # 딕셔너리 생성
    >>> dic1['age'] = 21    # age 키 값에 21을 할당
    >>> dic1['class'] = 182 # class 키 값에 182를 할당
    >>> print(dic1)
    {'age': 21, 'class': 182}
    >>> dic1['age'] = 23 # age값 21을 23으로 수정
    >>> print(dic1)
    {'age': 23, 'class': 182}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