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TheBook)

이 예에서는 0이 아닌 -7이 나온다. 이제 걱정 없이 역행렬의 식에 행렬식 값인 -7을 넣어 A의 역행렬을 구해보자.

이제 이 역행렬을 원래의 방정식을 나타냈던 등식 Ax = b의 양변에 동일하게 곱하자. 곱할 때 행렬의 곱셈에서 교환 법칙은 성립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A-1Ax = A-1b

좌변의 A-1A는 역행렬 정의에 의해 항등행렬 I가 나온다. 그리고 항등행렬에는 어떤 값을 곱해도 곱한 값이 다시 나오니 좌변은 벡터 x만 남는다. 이제 우변을 살펴보자. A-1b의 값은 다음처럼 A의 역행렬과 벡터 b의 곱을 통해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즉, 미지수 벡터는 2와 -1의 값을 갖고, 원래 알고자 한 미지수 x는 2, 미지수 y는 -1이 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행렬을 활용하여 일차방정식이 해결된 셈이다.

행렬의 곱셈과 역행렬을 사용해 일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행렬을 활용한 방법이다. 다음 절에서는 이러한 행렬의 성질이 데이터 분석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