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 동네의 인구 구조를 막대 그래프로 표현해 봅시다. 다음 코드를 참고하여, 자신이 사는 동네의 이름을 넣어 코드를 작성하면 쉽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신도림’을 넣었습니다. 또한, 0~100세 이상까지 101개 구간이 있기 때문에 막대의 위치를 range(101)라고 설정하였습니다.

    TIP

    ‘신도림’이 아닌 다른 동네의 결과를 보려면, ‘신도림’이라고 작성된 부분의 코드 한 줄만 수정하면 됩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의 코드는 동일합니다.

    import csv
    f = open('age.csv')
    data = csv.reader(f)
    
    result = []
    for row in data :
        if '신도림' in row[0] :
            for i in row[3:] :
                result.append(int(i))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bar(range(101), result)
    plt.show()

    그림 8-4 신도림동의 인구 구조를 막대그래프로 시각화한 결과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