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으로 남성과 여성 데이터를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plot(m, label='Male')
    plt.plot(f, label='Female')
    plt.legend()
    plt.show()

    그림 10-3 제주도의 성별 인구를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냈더니, 항아리 모양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보다 남녀 인구의 차이가 눈에 더 잘 들어옵니다.

    이번에는 또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연령별로 남성 인구수에서 여성 인구수를 뺀 차이를 막대그래프로 표현하면, 연령대별로 성별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