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합니다. 저장된 위치, 즉 인덱스(index)로 리스트의 값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리스트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다음 코드와 실행 결과를 보면 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names = ['쵸파','루피','상디','조로']
    print(names[0])
    print(names[1])
    print(names[2])
    print(names[3])

     

    실행 결과

    쵸파
    루피
    상디
    조로

    그리고 인덱스는 음수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뒤에서 첫 번째’ 같은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지금은 데이터 4개 밖에 없지만, 데이터가 많을 때는 앞에서 24번째를 세는 것보다 뒤에서 두 번째를 세는 것이 빠를 때가 있겠죠?

    names = ['쵸파','루피','상디','조로']
    print(names[-1])  # 인덱스 –1 : 뒤에서 첫 번째 데이터에 접근

     

    실행 결과

    조로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