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산자(Operator)

    연산자(Operator)는 데이터의 값을 계산하는 기호이며, 다양한 연산자가 있습니다. 먼저 사칙연산과 대소 비교 연산자만 살펴보도록 합니다.

     

    + : 두 값을 더하는 연산자입니다.

    - : 두 값을 빼는 연산자입니다.

    * : 두 값을 곱하는 연산자입니다.

    / : 두 값을 나누는 연산자입니다. 만약 a/b이면 ‘ab로 나눈다’는 의미입니다.

    == : ‘두 값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코드로 어떻게 쓰이는지 살펴봅시다.

     

    코드

    local a = 1
    local b = 2
    local c = a+b
    local d = 1
    
    print(c)
    print(c-3)
    print(d == b)

     

    출력값은 아래 실행 결과와 같습니다. ==의 경우 양쪽의 값이 같으면 true(참), 다르면 false(거짓)를 출력합니다.

     

    실행 결과

    3
    0
    false

    잠깐만요


    수학과 프로그래밍에서 ‘같다’를 의미하는 기호

    수학에서는 ‘두 값이 같다’라는 의미를 등호(=) 하나로 표시합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 등호는 변수에 값을 저장(assigned)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같다’는 의미의 다른 기호가 필요하여 등호 2개(==)로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 자주 헷갈리는 표현입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