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식이 맞든 틀리든 모두 등식입니다. 식이 맞으면 참인 등식이라고 하며, 틀리면 거짓인 등식이라고 합니다.

     

    ◼︎ 참인 등식: 9 = 6 + 3

    ◼︎ 거짓인 등식: 7 + 2 = 6 - 4

     

    방정식

    방정식은 x 같은 미지수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정식은 반드시 등호와 미지수가 함께 있어야 합니다.

    미지수

    ‘알고 있지 않은 어떤 수’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2x + 1 식에서 2와 1은 알고 있는 수고 x는 알고 있지 않은 어떤 수입니다

     

    예를 들어 x + 2 = 6이 있다고 합시다.

     

    ◼︎ x가 4일 때 좌변과 우변은 모두 6이 되어 참인 식이 됩니다.

    ◼︎ x가 3일 때 좌변은 5, 우변은 6이 되어 거짓인 식이 됩니다.

     

    이와 같이 미지수 x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x + 2 = 6은 방정식입니다.

     

    방정식이 참일 때 미지수를 방정식의 해(또는 방정식의 근)라고 하며, 앞의 예를 다시 사용한다면 x + 2 = 6에서 x가 4일 때 식이 참이었기 때문에 방정식의 해는 4입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