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10]:

    # array에 대해 몇 행, 몇 열 행렬로 구성되었는지 
    # 확인하고자 shape을 사용합니다
    np.zeros(5).shape

     

    Out [10]:

    (5,)

     

    In [11]:

    # s 변수에 (2, 2) 배열을 저장한 후 영 벡터로 표현합니다
    s = (2, 2)
    np.zeros(s)

     

    Out [11]:

    array([[0., 0.],
    [0., 0.]])

     

    NOTE

    항등원

    항등원(identity)에서 ‘항등’이란 ‘항상 같다’는 의미고, ‘원’은 원소를 의미합니다. 즉, 임의의 수 A에 어떤 수를 연산한 후에도 처음의 수 A가 나오게 하는 수를 항등원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 + 0 = A라는 식이 있을 때 원소 A에 대해 실수를 더했음에도 항상 A 결과가 나온다면 0은 덧셈에 대해 항등원입니다. 또 A×1 = A가 되므로 곱셈에서 항등원도 1입니다.

    신간 소식 구독하기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